본문 바로가기

웹 세상 엿보기

원숭이 세리머니를 둘러싼 논란… 진실은 밝혀진다

논란은 기성용의 골 세리머니로부터 시작됐습니다. 기성용은 지난 25일 밤 열린 일본과의 2011 아시안컵 준결승에서 PK로 선제골을 넣은 직후 코 밑 인중을 부풀린 뒤 얼굴을 한 손으로 긁는 '원숭이 세리머니'를 했습니다. 


의견은 둘로 갈렸습니다. 상대팀 일본에 대한 비하다, 라는 의견과 함께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 세인트존스전에서 자신이 당한 홈팬들이 기성용을 원숭이에 빗대 비하한 것에 대한 반격이라는 의견이 함께 나왔습니다. 


온라인 상에서는 전자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이 더 많았습니다. 대표팀은 일본 대표팀에 후자쪽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단 아시아축구연맹(AFC)는 기성용의 세리머니에 대해 징계를 하지는 않는다는 방침입니다. 어쨌든 기성용의 세리머니는 온라인을 뜨겁게 달궜습니다.


전자일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기성용이 트위터에 남긴 글 때문입니다. 기성용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욱일승천기를 보고 눈물이 났다'고 썼습니다. 이 글이 파장을 일으키자 삭제한 뒤 다시 '선수이기 전에 대한민국 국민입니다'라고 적었습니다. 원숭이 세리머니와는 관계없는 글일 수 있습니다. 일본에게 패했다는 사실이 어린 선수를 슬프게 했을 수도 있습니다. 기성용보다 더 어렸던 손흥민은 경기에 패한 뒤 하염없이 눈물을 흘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사실만으로 논란이 쉬 가라앉지는 않았습니다. 온라인에서는 기성용이 잘못했다는 주장과 기성용이 통쾌하게 했다는 논란이 맞부딪혔습니다. '비하'는 좋지 않다는 의견에 대해 '친일파냐'라는 날선 비난이 쏟아지기도 했고, 반대로 '사과는 물론, 국가대표 자격을 정지시켜야 한다'는 거친 비판도 나왔습니다.


원숭이 세리머니를 둘러싼 논란은 점점 확장됐습니다. 일본 응원단의 욱일승천기 게양과 일명 '악마가면'이라 불리는 김연아 가면이 논란에 추가됐습니다. 일본 응원단이 일제의 아시아 침략의 상징인 욱일승천기를 흔들면서 일부가 김연아의 얼굴에 눈을 뚫어놓은 형태의 악마가면을 쓴 채 한국을 비하하는, 도를 넘어선 응원을 했다는 지적입니다.



여기에 또다시 문제가 생겼습니다. SBS가 보도한 일본응원단의 욱일승천기 응원장면이 아시안컵 장면이 아니었던 '편집'으로 밝혀졌습니다. 이 화면을 캡처해 보도한 아사히TV는 이 장면이 아시안컵 장면이 아니라 지난해 남아공 월드컵 장면으로 밝혀지면서 다음날 아나운서가 시청자에게 공식 사과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산케이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해당 경기 장면은 2010년 6월 19일 열린 일본과 네덜란드의 월드컵 경기 장면이었습니다. <산케이 신문 기사 보기>


이른바 '김연아 악마 가면'도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당초 일본의 도를 넘어선 응원으로 인식됐습니다. 김연아의 눈을 뚫어 놓고 머리에 뿔이 달린 '악마가면'은 일본의 악귀를 쫓는 전통 놀이에서 기원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해당 전통 놀이를 '이시마타라' 라고 한다는 주장이 이 의견에 힘을 실었습니다.


그러나 블로거인 '아슈라'는 이같은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 아슈라에 따르면 김연아 악마 가면은 일본 응원단이 한국을 비하하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라 지난해 10월12일 상암월드컵 경기장에서 한국과 일본의 친선경기가 있을 때 인근 노점상에서 판매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일본 응원단이 가면을 쓰고 있는 사진 또한 이번 아시안컵 경기가 아니라 당시 찍힌 사진으로 알려졌습니다.  아슈라의 블로그 가기




일본의 전통놀이인 '이시마타라'라는 주장 또한 근거가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블로거 아슈라가 자신의 글에서 지적했듯이 실체가 없는 단어로 보입니다. 일부에서는 이를 '이시마타'로 인용하기도 했습니다. 


경향신문 블로그 <타박타박 일본> 을 운영하고 있는, 일본 문화에 아주 정통한 본지 고영득 기자도 '이시마타라'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합니다. 오히려 이시마타라로 일본웹을 검색해 보면 일본 네티즌들도 "도대체 이시마타라가 무슨 뜻이냐"고 묻는 질문들이 수두룩합니다.


한국과 일본의 오래된 구원이야 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유감만 표명할 뿐 끝까지 공식 사과를 하지 않는 일본의 태도가 괘씸한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감정에 앞서서 근거없이 상대방을 비난하는 일 또한 옳지 않습니다. 유언비어라는 논리로 묶어서 온라인 전체를 탄압하려는 정부에게 '책' 잡히기에 딱 좋은 일일 지도 모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의, 웹세상의 강점은 결국 진실을 드러낸다는 점에 있습니다. 자칫 흥분했더라도 시간이 흐르면 보이지 않는 여러 명의 노력으로 진실에 가까운 실체들이 드러나기 마련입니다. 위키리크스가 그 역할을 다하고 있고, 튀니지 사태에서 보여준 수많은 트위터 이용자들이 또 그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반성해야 할 것은, 네티즌이 아니라 우리 같은 뉴스 생산자입니다. 조금 더 조심하고 또 조심하도록 하겠습니다.   
                                                                                                                         by  이용균 기자